연변대학교에 관한 여러 이야기
우리 민족과 항일운동관련 기록
홍상수 감독의 <다른 나라에서(2012)> 뒷얘기
이자벨 위뻬르가 쉬는 시간의 니체의 <도덕의 계보>라는 책을 읽었다는 일화
김용옥샘이 출연한 부분은 엔지가 무척 많았다는 이야기,,ㅋㅋ
영화상으로는 자연스러운데,,,ㅎㅎ
태권도에 관하여 한예종처럼 한국무술종합학교 같은 학술관련 전문기관 제안
우하량 여신상 (해발 700여M고지, BC3500) 홍산문화-고조선문명 추정
앞짱구+광대뼈가 전형작인 몽골인 두상
이진아의 지구위 인류사에서도 흥미롭게 다루었다.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Print/171386
홍산문화를 연결고리로 그 지역국가들과 연합작전으로 중국을 견제하려는 통일이후 국방계획중 하나인 백두산계획수립기사☞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5&nNewsNumb=20160520340&nidx=20341
안시성전투앞 주필駐驆-"천자의 나들이 뜻"/이세민이 이곳에 오래 머물렀다는 사유-산 전투(당 10만 vs.고구려 15만)에 대해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색다른 해석을 내놓으시는데 <고구려제국사/서병국/혜안/1997>,<마흔에 읽는 손자병법/강상구/흐름출판>와 비슷한 해석을 설파하신다.
안시성전투와 관련해 당태동의 화살저격이야기
현대의학적으로 눈에 화살을 맞으면 즉사라 한다. 하지만 치명상으로 해석해 전쟁후 3년후 사망을 논거로 드신다.
백암산성(주변에 석회암이 많음)은 이전에 서길수교수님의 고구려 관련 여러서적의 화보가 생각난다.
시안사변(국공합작을 주장하여 상관인 장개석을 감금한 사건)과 관련된 내용
장학량동상,
일본 패망후 장개석이 공산당에 패하고 대만으로 후퇴하면서 끌고가
감옥에서 독학하여 명나라연구의 대가가 되었다함(역시 대인)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