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역을 통과해 입장
광화문 600년을 주제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과 더불어 세가지 전시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 👉https://dankunjosun.blogspot.com/2022/01/blog-post_9.html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MuKy6eaVbYZbzRs7TVzPn7KUHuWnoB0CJOYD8uK5odXOzzDh_TFvI3mP4ieJjLOxR_Wfji0K60atcCatPRvFu8sOt_PqmAIYZYeL7_h64HAwgl0pZnCAxQXF3St_2FEi8Tr1s7E0K3h0PrqWjfoAowOpAdmP8pUV3dzRpLCp-1J3XHD2FDg=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g7oFKzT6iormTPcg54JG4YPl2OuXODAQ9Ma5fMX8CNoqQzznjMy6Ng1sfrqYLEuc5KCfzXgMy5wXKdYZ63OUSCkMgIuq9bONpRoa37y9YLUhm5ZIGLZrIiHh9upjapvBJIITVS_zG8TSJ50gPe9VW-vN4XRozURK-QN9VUpQXPfWRmBER27w=w640-h480)
경복궁에서 스케이트를 탄 기록이 있는데 복원과정에서 발굴해보니 정자에서 온돌을 사용한 흔적이 나왔다. <경성의 건축가들/2017/루아크/51쪽>에 의하면 일본은 조선의 "온돌망국론"을 제기하며 심하게 비판했지만 조선의 심한 추위를 몇 번 겪고 나서 개량온돌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gGk8ewbKOmRi7zqvntOs_DfdJdQ7SYbzmxgnNkpiT8dN4Dk5MGAqGzLxGT7EQ_6gPPSfg8wa0aMpfQZ58MZmJSWK1gA9rjV5cwU-Kmo5bkHQGODprmxu-AaFq9ae9u2aKkV9SKjjojuLQqr72AjOFH3FjJUze1Uv-dmicpY1Hv6gS5AQuW_w=w640-h64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rmZPPKe6SNYG-DkzR1TsT0DKCO2q5Q7NQ5HA9iGHnP9mjSi8rOH6wgp-onPFsMVOF5JqrZICs9u_suRJPUrrmbMxkvIcrBBYs3aQ50t8LIcChztQbV8jOfa7j994prLnSEMMYLKuM6dwoQarz0cg3T-xLfe2fmI9FBDy3Ambv5Po-5FkRFA=w480-h640)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파괴된 경복궁이 하나하나 복원되어 오늘에 이른 것이다.
이무기가 나는 것을 표현한 것은 특이하다.
영상이 상당히 아름답고 감동적이다.
올 8월에 충남 태안에 발굴된 조선 전기 취두를 이렇게 빨리 복원한 걸까해서 이틀 연속 방문해 유심히 보고 박물관 관계자에게 물어 봤지만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40886629151256&mediaCodeNo=257복원관계일화를 들을 수 있는 영상
광화문은 일제강점기 지금의 민속박물관쪽으로 이전 되었다가 한국전쟁 당시 파괴되었고
다시 1968년 급조해서 만들었다. 다시 발굴작업을 통해 현재 위치에 오게 되었다.
이후 첨단장비로 지질측정(?)을 통해
지하에 건조물이나 돌, 흙을 파악해 찾기 시작했다.
=========================================================
다시 지하 2층에 가서 모형 관람
아쉬운 점은 관련 건물의 지명을 알 수 없다는 것,,,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