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anuary 24, 2020

추사 김정희와 청조문인의 대화전-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A Dialogue Between Kim Jeong-hui Literati of Qing Dynasty




 





















김정희가 제주도로 유배가기전 해남 대둔사에 써준 것

















































김정희는 이 비문을 발견하고 좋아서 비명을 질렀다고 한다.





 책의 양장본부분이 특이하다.
 경자년이라 이부분을 펼쳐놓았을까?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에 낙서를,,,












👉국립중앙박물관<신위탄생 20주년 침계>

이번 서예박물관전시에 김정희의 침계가 없어 아쉽다.

이에 대한 이성현님의 새로운 해석 <추사코드>란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
👉https://dankunjosun.blogspot.com/2020/01/blog-post_15.html









김정희가 제주도 유배를  마치고 서울 용산에 와 있으면서 쓴 글
벼루,차 끓이는 대나무 화로,시 짓는 작은집으로 만족하겠다는 뜻

오랜 유배생활로 알거지 신세의 담담한 심정






































김정희가 칠십에 이르러 찾아온 북청시절 제자에게 최고급종이에 써준 작품


























봉은사에 있는 추사가 죽기전 3일전에 썼다고 알려진 현판




유홍준교수님은 이 두자가가 어릴때 처음 글을 배울때 글씨체와 유사해 사람은 나이가 들어 어린이 같아짐을 보인것으로 해석했다.






바람부는 날에는 제주도 추사관에 다시 가보고 싶다.
👉https://dankunjosun.blogspot.com/2016/12/hall-of-chusa-in-jeju.html





👉책 내용을 전시로 옮긴듯하다,,,



No comments:

영화 < 이누가미 일족 (1976) > -옛날 영화인데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다.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의 홍보 메일을 받아 확인해 보니 재팬파운데이션 무비페스티벌을 상암동 영상자료원에서 하고 있었다. 👉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1578 예약을 못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