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여 년전 여몽연합군이
일본원정을 떠난 곳이 바로 이곳이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gmO2SlKRhaanlDOUwfFDwRIPZj6j7i1Q4_9TIfusZx1aH5vOHXxENZ-UfFEXM_ccA4V0dPjmpfZafdZwGcEapJitAm7Zv3aRBtAjvNoSigbYGUp1Lo5mtX4zc9h2UuLWapSnbItdkOK9VuBYSD1UGUyD1KTYYnQbeZh4IR0T8avqusTAMToAl_Q/w640-h480/IMG_0174-EDIT.jpg)
건너편에 예쁜 옷방이 있다.
조선시대 경기도 찬장에 있었다고 적혀있다.
모성애가 돋보인 작품이다. 우리는 돌사자 조각도 임신을 하거나 아이를 거느린 모습으로 정겨움을 준다.
☝대구국립박물관 의성 관덕동 삼층 석탑 돌사자 새끼가 어미젖을 빨고 있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9w3KqtnoG3Z_uHe_sVDivECPBTOl-tN64CzkmsMDSp00PbCEk3lgZAo6V5tt5pmsCV6Tl30rflbRopJWse2MH9W7Wf_HbwDBRFEWfDlkNf7JoNzFsPXo8HobxsSgW23uHw29nixf21qe2vQW19XOvoK14zbNW4RCLqPLT_fBEZ1zqImXKzcgDPA/w640-h480/IMG_9368-EDIT.jpg)
☝고궁박물관 돌사자, 새끼 사자가 젖을 빨거나 어미가 보호하고 있다. 모성애를 돌사자에 투영했다.
이거슨 삼국시대 것 아닌가?
4세기 중국에서 발간된 <수신기(搜神記)>에 수록된 소설 한빙부부(韓憑夫婦)에 나오는 고사성어 ‘원앙지계(鴛鴦之契)’에서 유래해서 우리도 원앙을 나무로 깎아 혼례 때 사용한 듯하다. 실제로는 기러기라는 주장도 있다. 여기 있는 목각은 기러기 같기도 하고 원앙 같기도 하다.
색도 제각각이고 모양도 다 다르다. 여러 사람이 전국에서 각자 만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금방이라도 말할 듯하다. 눈빛이 영롱하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wKkWrhHhfj0QNwZjZ4UtrmPPuL2ehTPuDr4Eh5_sfGcVQnyUcl5ryFDLsv4ASR7AzjJwnUGqBG42FbpHm4nuPpbDyF6poqip5yLQjOMHlshngQCebWyIaMCFq4bQZ7G6nhYeAQndhrwgPgewfXFJ7YdiizXJ5s0q98bhArfG95qh7YGINV0BQfg/w640-h522/IMG_0153.jpg)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QGXUfUGQVXWvHrRsKxObV6Kyb1WLhwHJ6oa2_GDyYdxHcvj76nyKR8A1jNDr483Vg19ix18G3iSGITIX1EyuVku4QfA14GE4hnUeh-AAhPFTSH4fh2PnZadLe1vQSwzU1oUG1qBPmK0ZhtHi5meHxzcMhC7r1aVIsjYD47ybM04wdbFdFJEm3tQ/w480-h640/IMG_0169%20(1).jpg)
이 많은 자료를 수집하느라 고생고생하셨을 텐데 후배들이 좋은 영감을 받아 2차 창작물로 작품화해 드려야할 것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