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June 27, 2022

국립청주박물관- 한반도 중원의 마한문화 탐방

 

청주시외버스터미널 도착

화장실에 갔더니 비누를 가져가지 말라는 공고,,, ㅋ

어디 고깃집 가서 화장실 갔더니 

따로 휴지를 배부해서 의아했더니 

이용객이 휴지를 들고 나간다고  ,,,

멋진 빌딩이 보였다. 나중에 택시 타고가다 안 건데 이곳은 청주에서도 신도시

우리도 일본처럼 예쁜 맨홀이 동네마다 생겼으면 좋겠다. 예산







스마트폰지도를 검색해 보니 주변에 무슨 저수지가 있다고 하여 걸어갔는데,,,





주변에 엘지와 관련한 지명이 많다.

건물이 특이하다

청주박물관 내부는 깔끔하게 순백색으로 되어 있다.

어? 이거 교과서에서 본 거다. 동아시아에서는 처음 발견되었다. 와~~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사인참사검 -조선


실전보다는 예식에 쓰인 칼인듯한데 화려한 세공 기술을 보라 
호랑이 인寅이 4번 겹치는 인년, 인월, 인일, 인시에 12년마다 만들었다.
호랑이 기운으로 왕의 무력을 강화하려는 의도이다. 조선시대 엑스칼리버

내 기억이 맞다면 고궁박물관에서 본 듯하다.



요거 하나 사고 싶다,,,사인참사검 편지칼





깔끔한 유적 배치가 신선하고 기분도 상쾌해진다.





보석상이나 백화점에 온 것 같다.


마한? 마한 내에도 54개국이 있었다니,,,

죽은자와 함께 저승 여행

덩이쇠

백제 판갑옷 횡장판 

이전의 종장판 갑옷은 숙여지지가 않았다,,,ㅋㅋㅋㅋ

한 여름 전투 때 고생꽤나 했겠는걸 ㅎㅎㅎ

망이산성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 유물이 쏟아지는 것은 이곳의 삼국의 치열한 각축장이었기 대문이고 왜갑옷도 발견되는데 백제와 연합한 것일까???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박혁거세와 마한, 왜인으로 신라에 귀화한 호공에 관한 이야기다.

👉https://dankunjosun.blogspot.com/2021/03/blog-post_28.html





👆이러지 않았을까? ㅋ


청주박물관 유튜브 설명👉https://youtu.be/uQWgIgrRutw



☝종장판갑옷?(부산복천박물관) 

부산 복천박물관👉https://dankunjosun.blogspot.com/2019/12/blog-post_18.html

부산박물관👉https://dankunjosun.blogspot.com/2019/12/2019-busan-museum.html

국립중앙박물관 가야본성전👉https://dankunjosun.blogspot.com/2019/12/gaya-sprit-iron-and-tune.html


☝경주박물관 종장판갑옷?


이것도 마한시대 작품이다.

청동왕관,,, 출出자가 아래 위로 붙었다. 신라 것과 좀 다르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마한의 칼이다.

새끼가 있다. 저 치밀함, 상상력 , 균형감각






여기서부터 어둡다. 흑과 백의 조화를 이룬 전시 배치가 좋다.








고려 거울과 인연이 있나? 예전에 우연히 교보문고 가서 산 책인데 황호근샘 저작이다.

요즘 고려 거울을 자주 유심히 보게 된다.







우리나라 단 세 개뿐인 통일신라 범종


























삼한 통일 후에도 백제 유민이 남아 소원을 빌었다 하니 어느 정도 세력을 이루고 살던 사람들이었으리라,,,

망국의 한이 생각나니 가슴이 찡하다.








불상을 자세히 보는 것은 이것이 과거 충북 사람들의 얼굴이기 때문이다.





금강저가 색색 있는 것은 처음 본다.
직지를 만든  흥덕사 유적

나갔다가 다시 들어 옴 길 잃어버려,,,ㅋㅋ





고구려? 나갔다가 다시 들어 온 보람이 있다








버튼을 누르면 종소리가 난다. 웅장한 것이 들을 만하다.









No comments:

영화 < 이누가미 일족 (1976) > -옛날 영화인데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다.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의 홍보 메일을 받아 확인해 보니 재팬파운데이션 무비페스티벌을 상암동 영상자료원에서 하고 있었다. 👉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1578 예약을 못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