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거 얼큰하고 맛있겠는데 시간이 없어서,,,아쉽네...
👉광고문구가 재미있다.
대구에서 경주로 가다. 길을 몰라 신경주역으로 KTX를 타고 갔는데
경주역으로 버스나 기차를 타도 무방할뻔했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wG7T_r0__M82HVWl4rwW6n0f0prGim7p8DghNbbEOUofuyrjzV1ModDlB5F_24Q0BIX_CRmKcMlAdUNdPYjohuG5SvukKr-0OiXBxNyFPSQRN59ePWH51VR00naYcIGOCd_GU2qX854_AM8HpTmU4tMPBHd-B6_4bK_AEsMqSufQe4jnSXQ=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lzDCjoNroCwyY67YInpSrNQKsbn6fac6giVvUT5wQ6zxn3_GnUkhZZxdKTwb9TtaOUm5BbfUThWyIaZW2SBXenSidSDJ89oMbMt8sKoQIlh8FPO6C_vgAGK0rLMagIJP8zttdsUaAH0dyyyRG7OaGE1DRFIRmo9GY5AJzOwTYCHovEqQ_lw=w640-h480)
전날 비가 와서 구름이 걷히고 있다. 경주에 많은 고분이 있지만 다 도굴되어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은 안타깝다. 어딘가 꼭꼭 숨겨둔 유물이 나오면 진실이 밝혀질 것이다.
이런 문화재의 도굴과 훼손이 후손에게 큰 교훈을 주어 더욱더 단단해 지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이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Cl8XX1GSn9z-kP_qrwbSjnSW38T_bXeqmRo_D0YE4HKzsyx4HR9YCXFyOQezumm7BGhWye1H2wGGfTAfW7nWLLQBKv7kgibBdQiSxght6EI7kBiu49z_1XS2ydaUIM4Z6RvAK_D8SvOqMTynWCadCdEzh_-FDxgPyfHdLyiwpHQ_1wEpcRw=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oaM1rKTIyt0hxgiuYp4JjCN10qu3DY8O4UxNzaxmZioOdZOtKogLZKIBB8fdNHVzPsEeOCfPXr3bF5QpxdEaeADrxq-R2ItEDZMdISGJ5niPO9olnyu_FL1cq-Ak_cn3DiipH37L75udbu-wsnCEITOFYKIRfJerJEHvG-_t2HZJ4byTgzg=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s_SBF7zT3QBSbz-osCTFEFiHGANTsBiccGCtgV9g9TyaiUkPHYodb8oTunajgHb6t1tIzxa8puFGdvhjyMTEhcf3Yn7wLWzp40UcwRPmKysjZG_Jd7__u7AyjW3tctzMKK0pr8V1vXfWaGdxvYxjj7EAfFSSK2l_XuMSacMZG436Brx8Nmg=w640-h480)
이승중 샘 서원 유적지인데 고시합격 후에도 관직에 나가지 않고 7차례나 거절하셨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지 78세 고령으로 참전하셨다,,,
신하된 입장에서 왕을 위해 목숨을 거는 충의를 보이는 것이 당시의 시대정신에 맞는 것이긴는 한데 김용옥 샘의 <우린 너무 몰랐다, 2019, 통나무>라는 책에서는 일본의 요구대로 길을 비켜서 북경을 치게 만들었으면 세계지도에서 일본을 지우는 외교적 쾌거를 이루었을 것이라고 가정을 하신다. 요즘 한국이 선방하는 것은 이 당시에 유학을 공부하던 공부 DNA가 한국인의 유전자로 각인된 결과가 아닌가 싶다.
첨성대를 가자는 말에 택시기사님이 실망과 약간의 짜증을 보이시고 멀찌감치 내려주고 저거요. 하셨는데 아마도 서울 사람 남산구경하러 가기 같은 일상성 때문이리라,,,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02NIHN_XBJSrk3f5JtmHjIxz6Ft_lTw0OI0Os_sPi-WGaD8MFTfqsVR3r3lHv0_ytDustjKyWChr8Ujw-xA-VUBmIkybN-vCLcialhJ08FBvJBcIYjSWY7TmKNmb7NSF-EKMs-MOl1SZkJn18M09q6wVEGBQMrOSRnwrthQ7MvfrN0FqhwA=w480-h64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jKd-qGdCv8JM--umYVxpvJtP_ofNcjiMF_mPrLB-uoVH8-uBzJjtZo7ZHadm5fgPY5jg_916vRAB_d6_XuuCucBc_JvVuNeVf8TPRQH4huR4z7arMEFdWfVxgC8jwaHcL4iaYcFEqREZ5x_E6TlVX3_Z1w_8BuKQd7NOQoJ3us4dg6DJ7lw=s32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g60Q7NQb5oBug7X0GtLwRUI4_md3IBB737D2-HoZEKExDbd3xFlPGFxvyhCiL6dWCMhHctYz_ZL_YAxw5S6qeYza1EUJ6OW_AabdT-7nYfWcf2-ZHYNIvbt5vILfeYg-KNSDqwY0dok-ZlNKR3LEzCtnDMNApCbCdG3fcSJqlaqaK-l307_Q=s320)
잘못된 역사교육으로 첨성대에 대한 오해가 맞은 데 그 당시(선덕여왕 재위 시 CE 632~647) 저 정도의 특이한 건축물을 만들었다는 것 자체로 신라의 문화적 긍지를 알 수 있다.
아침을 밀면 식당이 즐비한 곳에서 먹었는데 예전에는 번화가였는데 사람이 많이 줄었다고 하신다. 맛은 좋았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aTpvZoMYudr5svIkD3E0PPkrgxHfQCjwzRA_uxvs56-YLjSpAflEMysLgbt9cvEvLtRoO0Ky2bFOt9mKF9aCHkQOqsn54S5FtPTKQvMGEvl1-gN1B55Lh0rJIo7cz6N9L_GAKLRkaanfxDN2RKgvUjuRpMFXqq8fCOodB6bGPiNgc3Rj2Cg=w640-h480)
불국사를 지나 석굴암에 오르다. 수학여행을 가면 일출을 보기 위해 샘이 깨우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밤새 술을 먹은 아이들이 산행하면서 오바이트를 했다는 전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YcKkq69dnhOwWwzNpQdUN7JwX2jHlB37G7P5XghXnMtyMN4Y_GACfeQIZ-3dLiCsplpCM6wU4s0zgcnNQ3iw_ZHtTuP3LHpBsCiCh11Jgf7rRSuRuOnrz2zbV_NzWW2vH87fHUy8YImJUIUGrWWq22kfq5qHKutFG0AfRO-eBYnq1HR_mew=w640-h480)
석굴암에 가면서도 입장료를 내야 한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mHHY5hhOjpbCrizrW6oIt96FCPksEIbclkPYD4LsO0FIGdX5Nia2fpTf0d81cCOMxKHBzar55oSbyTBqoaqWqKLZQdTI0y6wsKVBlc5ZuSukcOIBk44gxgraAnbojS30T240B4Mn8KBZ-Vgoe2jDUJE7EsLbMWIPj2dje4HIm7eVyud3f5w=w640-h480)
스산한 새벽 안개에 귀신이라도 나올까 ㅎ ㄷ ㄷ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FxGU54J5bWPpIvmGC4T7KEls2q-A-KmUYN6DyvdfFzAiTamFr_6KboXuVxlBJS1CRyki24HYeRmjF9DTWzEl8uMdR4L5t0DIWwIpEGTLNXvA9MKTFrMa_m7fwvKnKOAAiCrS0EHczoV7gtJ05PTBK_LtZNnsva9MQ5EvLfTo67L1XT-rkgQ=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D4Cvpw2UCIoXX8tRMH0yyosgGB3W3q_TUjp6xraw-3ylwSxJfGaveVe0FV_-Y57IH0K7dV8_zBYWB24cCcjymAOhKgkgM3kBtdy2uJNYBSk-e7zrXeoO-aZ5Ww76A7Jk1wi8yD78GWNsvvVecwAkdO59D6z5E0qa__oQCwzU-pS5uS4gEOw=s32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zD-I23dsOk4sJE0oAbSwCEW1LOP3zhbb9_z5opZifhj6pgsPBHMH1qo0ViBhQ1gtzzCxLbd9ccWWb_hcGMG968gqdhcLT6SMqX9zqSLAUgirKLTwASkRQwZ1RQkrQtkby68FRybYI04PJJcALvGdUavcvH8M5ERQEs6JjFhJWtb-GT9MKUA=s32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30Mz14AVwDLeelZ4D24dMCXdPnSqtdFNulMm9ddztIo3ync2KtRKIoPUD77pqkeKlADg2kzZvRxn3PWViQgImkFlFEXOoKWCbeZu_ApRIDIZ27Ow1-GhAylZdvcX3b5ysve5dYiFwH7jDYfOAHNVDZl1myOQitNNr_YcnxtgxMOPG8l3OIg=s32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19MC1FpAn6eYHgwOPC-0AUx6Jwl3yCp5YIM_9WD0WF3lYSoyj-LpaNxSQT5XgO45F_LOTMcXoaMBHF2VAByIcshqpH_bYTQUk8757U9bzewLWs6O44K21UcqzpCAIInU-xptNdmAW8R_7-gSqPw_eqWfSFuLUBmb-NoH2qpKM6PwAqfslLg=s320)
일제강점기에 무단으로 분리 해체하여 제대로 못 맞추고 방치한 석재들,,,
당시 자신들의 문화재 복원 기술로도
고대 신라의 건축기술을 복원하는데 역부족이었음을 보여준다.
황수영 <석굴암/ 열화당/ 1990/ 48쪽>에서는
추가로 발견된 금강역사 두상을 두고
석굴암 조성 이후 화재등
전실소실로 추가 제작한 것이
아닌가 주장하신다.(증개축의 흔적)
일본학자 하다마 고사쿠는 석굴암의 조각을
당나라 명공의 조각일 것이라고
자신들의 열등감을 표현했다.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학고재/ 2002/ 129쪽>
👉일본 가마쿠라 시대 (1185~1333) 가이케이 목조아미타여래입상
<국립중앙박물관-조선의 승려 장인전>
느낌 자체가 틀리다.
석굴암 안에서는 사진을 촬영할 수 없고 시주를 주관하는 분이 계신다.
찬찬히 다시 석불을 보니 뭔가 상대방을 압도하는 분위기가 있다.
김용옥 샘 <나는 불교를 이렇게 본다/통나무/1989/ 95쪽>에도 같은 느낌을 언급하고 있다.
언젠간 이 유물들도 제자리를 찾아갈 것이다.
안개에 둘러싸인 일주문이 신묘한 기운을 뿜어낸다.
황룡사 9층 탑을 경주엑스포 때 복원한 것이라고 택시기사님 설명
중간에 코로나 검사를 받았는데 무슨 공원 같은 곳에서 대기자가 없어서 좋았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UCG2SpWhKxRsyRGzMngKfII3gec5ddzbnAHkA4ohVuHecgbZjKPxTECrmH-fsuepHeLFPisWn4r3qjPL1aWLUer3Qz9EcrcyLt9Px8A4QsHL4RRJdxsS9CSiAGBju8qFOqjzwxnhn9IKpooBHyKz-mvKEVnlJ8R9UDN5JZa8oaPg7IQ3HVA=w480-h640)
메이지 유신이래 "아시아의 서양"을 자처하며
자신을 문명으로,식민지 조선을 야만으로 규정하며
불쌍한 야만인을 문명화해야 한다는
일종의 역사적 사명의식을 가졌던
그들이 분황사 모전석탑을 보면서 느꼈을
스스로에 대한 모멸감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고스란히 나는 여기 서서 느낄 수 있다.
634년에 만들어졌다면
현장이 인도를 여행할 때다.
김용옥 샘의 <스무살,반야심경에 미치다>,<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2>에서는
인도 스투파(탑)의 가장 원형에 가까운 모습이라고 밝히고 있다.
👉<경주박물관> 분황사에서 출토했다고 한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dhOCHNnf83lggJ4uU8mCCSCKOxkvsdv6RxtSg0pcUGY_uzPjh6CYRb6f6PFFKQGFh97BNTKYI7k9T4TWZraLWMpWKHsGXsmlJj8As7GsfLQqXQe_rfBvPmNbPE3w3dzY9-66obPIOy0jCOlMMITq2VNoVp_LF7tnG1D1WE-b-zlYNeBAtjw=w480-h64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gl5C3zRwgHvdF2foNhnUHOCjq3DPCj_s627q6mYOc3e_7JdsCoEsbndQOQ5qQgixWLQOYv1HxkG47BJMDv7iK2S7eNgvmvjEStiFv9BjfwbDX-fcmRiJs41Sa2aKcJAScD1H2eSYPOXrVFfr4Y78ssnzTep3EKquuK5mMDK1GsiPq9NMMzFQ=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6uN3SdUTdv0khTsSRmsypVv_6o_FuDo9iSWFeVA65FiTI8TOnSdaWQWfnU4g59EvGFB-Chkj4QWSsSvDlZhiDdC_5rrAmZaPOcVLFi-l6CJuHsPDzTtjUEN_3KcvC4Wex8da0adYxCi0FC3HqOI1mf-D4gyIl7iirNBNkCbvuUhOs6r_tTQ=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Ij66MFbI_bFAhVmyyPAfz5MjeMbitKUCbxAW-0gGFNej_a0X2KdCx30b6b2XXihAU4XRACb9rqea0UHyRB31XtQZJUnY8mdIQ3aNEL6rEIgrElROaZn1ytz35xmzEeXlVxCr8HIAU3EBdx_PjBA3EKfSecah7_88Qc_-A94VAhUjDs9lUKA=w400-h248)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 옆에서는 수능 전이라 그런지 법회가 열리고 있었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gBTMTN8xrQjCfnGmPN2ynttiBR-7P5vEm-z_TsjG6BpARtd2sv2ARtLjc1wZOOBv-qWRZ9ftEvu2m30KFSwQFuGpxg-Prg8RFhcMUZzRN_6PhUZxLrkhJ6ex8qpdmSD_uUQ_Ohpbpgs_TXdEaVrddP9EiFqMRcNub7Xk36cxPIKfywHpJ4uQ=w640-h480)
화려한 영광의 장소는 폐허만 남아 있다. 과거가 현재로 오면서 많은 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0NoQ46j8PzvwPhJQYRA46zaIq4emZNDKRvIoy04-c0vo6LWSdekqPUY3XYOc2i8cMLZtENTKpHdpcA4sjhf56ZkPUc6YSQeQ7besLMO3-AaF6gDdhx9N28vio_J2jaVD6Xi4EaERLSeUW68D_sJdAvctymiuzSLNR-RHHQyVn_CJmlsdrNA=w640-h480)
무열왕릉에 다시 가다. 딸과 사위가 백제군에 죽자 복수의 마음으로 한반도에 외세를 들여오는 계기를 마련한 김춘추인데 통일을 보지 못하고 죽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ikCpCFUB855k4ujLKs2n4_2L678CqGkyXUOFQUVh_lBqAcluzcB_rvSRZVKDc21cmpJSlmQxmjSb3IFlBkx_xmzI9C1qGY1NOBLRJDhUO88doaPEu1PQdVW_THwxC5iHt7sfYSSODVS-Rj_6m2yF06X2fUIs6fG_nGlDT1v-qOTjwBhTuGA=w480-h64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i_0WyUivNVHY4gAeo42sE8weLJLsezutrNiuIhHR4JHHay4qUovMI1kOEaZZBIlOi1eh2WGhKPdhP52UpYC2OBSEJicFETahd8f9uWU4SbLivjm-JCyGyzv9Lz6mkglhyXs-7HNoK8SqvfLPr0w9eclcKUembNX0lwB0DlPpDvuxq7wyC6wA=w640-h480)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gg0RdJ33N4rH6237DN3mfJkTOo7EGo9UOVwj3C5J44cLhohhYesIVuGIVS3t02nqdnZ7KoenSCY6BOh7rmxamKk1FR66l3CMfknoUsA4BucV69YXXgPTF8HFpq5YNABIq-QOxxQ0BKB-uIZdI6ldL2D-9d0rMVDilimqGIsJE2A46rzhRvlg=w640-h480)
경주역이 본래 시가지인데 신경주역을 만들어 외곽으로 주변 학교도 옮기며 인구분산과 과밀해소를 한 이야기를 택시기사님께 듣다. 신경주역이 앞으로 많은 발전을 할 것이라고 하셨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