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September 02, 2019

윤봉길 기념관 방문후기

지하철 양재시민의숲역







 많은 필사본 책과 농촌야학운동 기록을 보면 요즘 같으면 4차산업 청년창업을 위해 아이템을 연구하지 않았을까 싶다....

시대가 시대인지라 그는 그 시대의 책무를 저버릴 수 없었을 것이다,,,

윤봉길의사의 거사에 관련된 주변 역사를 알면 얼마나 극적인 의거였는지 알 수 있다.

중국 내 이봉창 의사의 의거 보도 문제를 빌미로  1차 상하이 사변 발발하게 된다.

1932.1.8

이봉창 의사 의거

 

1932.1.28~3.3

1차 상하이 사변

 

 

권기옥 여사 상하이 전투 공군 참전

 

1932.4.29

윤봉길 의사 의거

 

1934.10.15~1935.10.19

마오쩌둥 장정

 

1936.12.12

시안 사변

 

1937.6.4

보천보전투(김일성)

 

1937년 여름

님 웨일즈 연안에서  김 산 만남

 

1937.8.13

2차 상하이 사변

 

1937.12

난징대학살

 

1938

일본짭새로 누명을 쓰고 김 산 죽음

 




 많이 회자되는 김구 선생과 관련된 시계,,,

 
 입구에 셔터를 키면 3D영상이 나온다.

박노자,허동현샘의 <우리역사의 최전선/푸른역사/2005>에 의하면 일본인 사회주의 종군기자가 일급정보를 제공해 윤봉길의사가 요인정보파악과 식순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유해에 치욕을 안기 그들의 처사,,,
 장제스의 그의 사후 의거를 칭송하는 글



20대 초반 인생의 봄을 만끽할 나이에 그는 목숨을 걸고 의거를 단행하였다,,,

그와 반대편에 섰던 사람들의 후손들이 독립되어 분단된 조국에서 아직도 큰목소리를 내고 활개치고 있다,,,,


 2층에도 임정요인 두상 전시가 있는데 입구에서 홍보도 안하고 안이 무첩 덥다,,,



슬라이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가상체험기술이 발전하면 의거 현장체험도 가능하리라,,,

No comments:

영화 < 이누가미 일족 (1976) > -옛날 영화인데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다.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의 홍보 메일을 받아 확인해 보니 재팬파운데이션 무비페스티벌을 상암동 영상자료원에서 하고 있었다. 👉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1578 예약을 못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