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September 30, 2019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헐리우드Once Upon a Time in Hollywood >-내가 아는 지난 미국의 다른 모습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새 작품이라 기대가 컸고 레노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브래드 피트가 출연한다니 기대가 컸다.

두 배우다 타란티노 감독에 출연한 경력이 있어 캐스팅 된 듯하다.

마고 로비는 <메리, 퀸 오브 스코틀랜드(2018)>에서 본 배우가 맞나 싶을 정도로 다른 사람같다.

지루해질 영화가 그나마 끝까지 스피드있게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줄리아 버터스와 마가렛 퀄리의 예쁜외모와 마이크 모와 알파치노, 다코다 패닝의 연기보다 로버트 리차드슨 촬영감독의 카메라무빙과 역동적인 앵글 탓이 크다.

진짜 관객이 현장에 있다는 착각이 들게 했다. 그런 현장감이 영화의 무미건조한 분위기의 지루함을 견디게 했다.<헤이트풀8(2015)>,<월드워Z (2013)>,<장고; 분노의 추적자 (2012)>에서 촬영감독을 하셨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나 브래드 피트가 찌질이로 나오는 영화는 웃음을 자아내고,그들도 이제 나이를 먹었구나하는 얼굴주름을 보니 살짝 슬프기도 하다,,,

타란티노 감독 특유의 허를 찌르는 황망한 급작 연출은 폭소를 자아내게 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런데 정말 그 장면이 촬영장 실화를 바탕으로 한건지 알고 싶다.

여러 촬영장 분위기를 잘 살렸고 60년대 후반 70년대에 있던 히피문화와 베트남전반대분위기,이탈리아영화에 대한 편견이 약간이 들어난다.

몇개장면은 편집이 잘못되었나 싶을 정도로 끈금없고, 이야기도 따로 노는 듯하지만 결론에서 모든 의문을 해소한다...

그래도 그건 뭐였을까 하는 의문은 든다.

고수의 심오한 뜻을 내가 어찌 알리오 싶은 심정이다.

타란디노 감독의 영화를 개봉관에서 본 건 처음인데 이전의 작품보다 작품의 질은 훨씬 완성도가 높았다고 생각된다.

흘러 나오는 음악이나 의상(브래트 피트의 옷빨은 과연 그가 왜 스타인지 알게 해준다.)

오디오에서,,내 기억으로 딱 한번 오디오가 튄다,, 완성도가 높다.

차가 나오는 장면이 많아서 인지 자꾸 올리버 스톤 감독의 <유턴(1997)>이 생각되고 같은 허망한 결론이 되지 않을까 예상했으나 결론은 ㅎㅎㅎㅎ

쿠키영상이 있다.

영화가 끝나도 자리를 뜨면 안된다,,,

60년대 후반 70년대초 미국이 강대국으로 모든 세계를 호령할 때이고 헐리우드 영화산업이 폭발적 비약을 보이던 때이지만  그때를 사는 영화속 헐리우드 종사자들이나 주변인들은 남들이 보기보다 불행하고 미래가 불투명하다.

이건 과거의 모습이 아니고 현재 오늘을 사는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실제사건을 모티브로 해서 다른 결말을 보여주는데 그렇게 이해하니 마지막 장면이 묘하게 여운이 남는다,,,

Saturday, September 28, 2019

서울미술관<안봐도 사는데 지장없는 전시> <페이머스 컷Famous cut>관람후기


 1층에 중국인전용 쇼핑몰이 있어 거기로 들어가려다 위로 올라가다.




입장권 한장으로 8월한달간 입장가능하다는 문구를 이제야 보다

8월31일 입장 ㅜㅜ
























 이응노 샘 작품은 한번에 알아볼 정도도 개성이 강하다.






 하비에르 마틴은 인스타그램을 운영하시는데 자신의 작품을 인스타에 올리면 바로와서 좋아요와 🙏🙏🙏를 날린다, ㅋㅋㅋ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독립 그날이 오면>전 관람후기

 인스타그램 이벤트로 참가후 서울역사박물관이랑 다른게 또 있나 싶었다.

찬찬히 검색해보니 미문화원옆 건물이 새로 있었다.

늘 지나다녔지만 역사박물관이라는 것은 모르고 지나쳤다.

아마도 미문화원옆의 삼엄한 경계경찰이 부담되어 세종문화회관쪽으로만 다녀서 그런가보다.














 외국인들이 신미양요나 병인양요에 꽤 관심을 보인다,,,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특별전인데 바로 옆에서는 비국적으로 굶어죽는 새터민 동포가 있으니 한민족으로서 안타까운 일이다...

영화 < 이누가미 일족 (1976) > -옛날 영화인데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다.

 일본대사관의 홍보 메일을 받아 확인해 보니 상암동 영상자료원에서 하고 있었다. 예약을 못 하고 현장 발권했는데 예약만 하고 오지 않으신 분들이 많아서 빈자리가 많았다. 카토카와회사의 상징인 봉황이 나오는데 고구려 봉황과 비슷하다. 1950년 요쿄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