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은 리장으로 주로 촬영감독으로 대가를 이루신 분이시고, 영화 내내 멋진 장면은 손색없는 명씬이다.
신해혁명이라 하면 1911년 10월10일 봉기 일이 중공군창립일이다.
영화 역시 신해혁명 100주년 기념작이다.
중국 현대사는 위안스카이라는 특유인물이 줄타기하다 폭망해서 급사했다 정도로 알고
1989년 천안문사태 때 북경대학생들이 쑨원의 사진을 들고 다녀 국부는 모택동 등 공산당이 아니라 원조는 따로 있다는 역사의식이 남아있을뿐이다.
사실 중국 하면 떠오르는 게 짱깨, 무술, 삼국지, 비위생, 중공군밖에 없는데 욱일승천하는 주변국으로 이제는 무시할 수 없는 대국이 되었고, 그들의 근대국가형성과정도 심도있게 통찰해야할 때가 되었다. 우리가 중국을 깔보고 산 적은 우리 역사상 아주 짧고 최근의 일이다. 고려시대에는 30년마다 중원의 주인이 바뀌는 격변기라 지금 하고 또 달랐다.
청국이 200여 년 이민족으로 한족을 지배하며 몰락의 길을 가고있고, 자신의 국가를 밀고 오는 서구열강의 발전 모습을 검토하며 민주공화국의 탄생을 필연으로 결론짓고 이를 강행하기 위해 유혈 군사혁명을 일으킨다.
혁명= 근대화?
영국은 왕이 여전히 존재하며, 독일역시 혁명을 거치지 않아 일본이 롤모델로 삼아 개혁을 거쳐 근대화된 경로를 중국혁명지도자는 어떻게 필터했는지 영화상으로는 모르겠다.
영국은 왕이 여전히 존재하며, 독일역시 혁명을 거치지 않아 일본이 롤모델로 삼아 개혁을 거쳐 근대화된 경로를 중국혁명지도자는 어떻게 필터했는지 영화상으로는 모르겠다.
그리고 자신의 영토를 초토화 시키며 몰려오는 일본 역시 역사상 유례없는 근대화를 이루었지만, 혁명은 일어나지 않았다. 님 웨일즈의 <아리랑>에서 김 산은 일본에서 혁명이 곧 일어날 것이라고 예견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사실 그쪽 책을 읽은 지도 오래되었고,,,
이야기를 전개하는 영화기법은 나날이 발전하였고 세계영화 수준과 별반 없어 보였다.
배우연기나 인물 뭐하나 흠잡을 게 없다.
아쉬운 건 영화 전체 이야기가 감성적인 것에 주력한 점이다.
극 오버의 홍콩영화 특유의 비장미 또한 여전히 버리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쑨원이 외교를 통해 열강의 은행 자금지원을 차단하려고 열의를 보인 점
이것이 혁명군을 제압하는 위안스카이의 재정적 타격을 줘 우회적으로 혁명을 지원한 점은 정치인 쑨원의 면모를 보여준다.
현실정치를 냉정하게 파악하고 내전을 피하고자 위안스카이와 협상하는 장면도 나름대로 잘묘사했다.
멸망한 청조에 단두대가 아닌 공화국 국민으로 여생을 편히 보내도록 뒷거래 보장을 한 것도 현실적으로 적절한 처신이었다고 본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주재 우리 외교관에게 공공연하게 대한민국을 쓰레기 국가라 비하한다고 한다.
그 이유가 주한미군 문제와 친일파청산, 외세 의존적 국가 운영이라 할 것이다.
중화민국은 우리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공화국건국으로 이민족지배를 자력으로 끝내고, 일제와 전쟁을 통해 승전국이 되었다. 그리고 한국전에는 많은 군이 개입하여 세계최강의 군대와 격렬한 전투를 하여 아편전쟁이후 거듭난 군사대국의 면모를 과시하였다.
삼국시대이후 중국의 위력은 늘 등 뒤에 호랑이가 있는 듯했다.
잠시 우리가 일본과 미국의 눈치를 보이는 동안 다시 등 뒤의 호랑이가 된 지 많은 시간이 흘렀으며, 서울 거리에 넘쳐나는 중국 유학생과 여행객들에 한류 운운하며 자부심을 보이는 것도 잠시 천년 넘게 우리를 옥죄던 그들이 제국의 본색을 드러낼 때가 되었다.
신해혁명으로 촉발된 그들의 큰 걸음걸이를 하나하나 눈여겨보아야할 때다.
장사가 안되는 건지 검열 때문인지..이제 중국영화도 좀 근현대 정치적인 것 좀 들어왔으면 좋겠다.
아직도 삼국지류밖에 없으니...어쩌면 신해혁명이 영화화되는 것 자체가 세상에 중국 자신의 위상을 변했음을 선포하는 외침일 수 있겠다. 중국이 오늘의 위상을 갖기 시작한 어제의 일부터 서서히 이야기를 풀어 영화화가 된다고 보면 될듯하다. 대장정, 중일전쟁, 팔로군등...
그리고 이후 영화의 방향도 조폭갱 영화에서 점진적 변화를 보일 듯도 하다.
*간간히 만나는 중국 젊은이들은 대장정이나 마오쩌뚱얘기를 하면 할아버지들 이야기라며 고리타분 해하여 좀 당황한 기억이 나서 자국수요영화로만 제작되는가 싶다.
*공화국을 건설하고 전쟁을 통해 전승국이 되었지만, 정치사회의 민주화를 이루지 못했기에 상당수준의 input과 output의 파레토 최적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세련된 문화상품을 내놓기는 당분간 요원해 보인다. 예가 적절할지 모르겠는데..삼국지가 게임으로 만들어진 건 일본이고, 뮬란이나 쿵후팬더가 미국에서 만들어진 것처럼 원산지보다 그걸 상품화할 수 있는 기술적인 역량, 연출의 힘 또한 필요한 것이다.
사실 그쪽 책을 읽은 지도 오래되었고,,,
이야기를 전개하는 영화기법은 나날이 발전하였고 세계영화 수준과 별반 없어 보였다.
배우연기나 인물 뭐하나 흠잡을 게 없다.
아쉬운 건 영화 전체 이야기가 감성적인 것에 주력한 점이다.
극 오버의 홍콩영화 특유의 비장미 또한 여전히 버리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쑨원이 외교를 통해 열강의 은행 자금지원을 차단하려고 열의를 보인 점
이것이 혁명군을 제압하는 위안스카이의 재정적 타격을 줘 우회적으로 혁명을 지원한 점은 정치인 쑨원의 면모를 보여준다.
현실정치를 냉정하게 파악하고 내전을 피하고자 위안스카이와 협상하는 장면도 나름대로 잘묘사했다.
멸망한 청조에 단두대가 아닌 공화국 국민으로 여생을 편히 보내도록 뒷거래 보장을 한 것도 현실적으로 적절한 처신이었다고 본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주재 우리 외교관에게 공공연하게 대한민국을 쓰레기 국가라 비하한다고 한다.
그 이유가 주한미군 문제와 친일파청산, 외세 의존적 국가 운영이라 할 것이다.
중화민국은 우리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공화국건국으로 이민족지배를 자력으로 끝내고, 일제와 전쟁을 통해 승전국이 되었다. 그리고 한국전에는 많은 군이 개입하여 세계최강의 군대와 격렬한 전투를 하여 아편전쟁이후 거듭난 군사대국의 면모를 과시하였다.
삼국시대이후 중국의 위력은 늘 등 뒤에 호랑이가 있는 듯했다.
잠시 우리가 일본과 미국의 눈치를 보이는 동안 다시 등 뒤의 호랑이가 된 지 많은 시간이 흘렀으며, 서울 거리에 넘쳐나는 중국 유학생과 여행객들에 한류 운운하며 자부심을 보이는 것도 잠시 천년 넘게 우리를 옥죄던 그들이 제국의 본색을 드러낼 때가 되었다.
신해혁명으로 촉발된 그들의 큰 걸음걸이를 하나하나 눈여겨보아야할 때다.
장사가 안되는 건지 검열 때문인지..이제 중국영화도 좀 근현대 정치적인 것 좀 들어왔으면 좋겠다.
아직도 삼국지류밖에 없으니...어쩌면 신해혁명이 영화화되는 것 자체가 세상에 중국 자신의 위상을 변했음을 선포하는 외침일 수 있겠다. 중국이 오늘의 위상을 갖기 시작한 어제의 일부터 서서히 이야기를 풀어 영화화가 된다고 보면 될듯하다. 대장정, 중일전쟁, 팔로군등...
그리고 이후 영화의 방향도 조폭갱 영화에서 점진적 변화를 보일 듯도 하다.
*간간히 만나는 중국 젊은이들은 대장정이나 마오쩌뚱얘기를 하면 할아버지들 이야기라며 고리타분 해하여 좀 당황한 기억이 나서 자국수요영화로만 제작되는가 싶다.
*공화국을 건설하고 전쟁을 통해 전승국이 되었지만, 정치사회의 민주화를 이루지 못했기에 상당수준의 input과 output의 파레토 최적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세련된 문화상품을 내놓기는 당분간 요원해 보인다. 예가 적절할지 모르겠는데..삼국지가 게임으로 만들어진 건 일본이고, 뮬란이나 쿵후팬더가 미국에서 만들어진 것처럼 원산지보다 그걸 상품화할 수 있는 기술적인 역량, 연출의 힘 또한 필요한 것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