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474393
<황해>, <고지전>, 드라마<전우>, <로스트 넘버원>, <포화속으로> 등등이 소문에 소문을 덧붙여져 이상한 소문이 많았고..딱히 제작자나 감독문제라기 보다 소위 보조출연자를 동원하는 팀장과 조연출..그런사람들이 짠돌이거나 일이 서툴러서 벌어진 일이다..
오가다리조라는 일본배우는 연기가 좋다
장동건은 항상 그 모습이라 그렇다,,,
아쉬운건..왜 군인이 장발이냐
독일군장교로 나오신분도 그렇고 차라리 소련군장교가 더 낫다
어디선 본것같은 장면이 많다.
지루하다 평이 많고..댓글에 반박 재반박이 많다..
중국여배우씬은 영화<풀매탈자킷>의 저격수씬이 떠오르고
소련-독일군 전투씬은 <에너미엣더게이트> 전투씬이 떠오른다.
어설픈 화해 및 우정도 분위기 전환도 그렇고
전쟁 중 사병이 야간에 혼자 나가서 달리기 연습을 하는 것도 시대 상황과 맞지 않다.
축구씬이 난 꽤 괜찮았는데..
사실...적으로 포로들 데려다 축구를 하는 것도 이상하다.
마지막 반전은 희망과 화해, 미래를 얘기한거 같은데..
사실 중국이나 일본이 과연 한국을 그렇게 볼까도 그렇고
주변에 다 우리를 찌질이 호구로 보는 와중에 우리 혼자만 양쪽 다 용서하고 화해하고 우리가 중심이다..그렇게 희망적으로 결론 맺기가 영화 상영 당시의 한중일관계와 맞물려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김종학피디가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이후 <백야?>가 첫방송부터 어디서 본 것 같다고 하면서 시청률이 곤두박질 쳤고
이병훈피디가 <허준>,<대장금>이후로 <동이>에서 재탕삼탕 논란으로 막을 내렸듯이
강제규감독도 역시 자기가 만든 기존 영화판을 엎어버린 파격의 틀을 깨고 만든 "강제규판영화"를 스스로 단번에 업그레이드하기에는 한계가 있지 않았나 싶다.
축구씬이 난 꽤 괜찮았는데..
사실...적으로 포로들 데려다 축구를 하는 것도 이상하다.
마지막 반전은 희망과 화해, 미래를 얘기한거 같은데..
사실 중국이나 일본이 과연 한국을 그렇게 볼까도 그렇고
주변에 다 우리를 찌질이 호구로 보는 와중에 우리 혼자만 양쪽 다 용서하고 화해하고 우리가 중심이다..그렇게 희망적으로 결론 맺기가 영화 상영 당시의 한중일관계와 맞물려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김종학피디가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이후 <백야?>가 첫방송부터 어디서 본 것 같다고 하면서 시청률이 곤두박질 쳤고
이병훈피디가 <허준>,<대장금>이후로 <동이>에서 재탕삼탕 논란으로 막을 내렸듯이
강제규감독도 역시 자기가 만든 기존 영화판을 엎어버린 파격의 틀을 깨고 만든 "강제규판영화"를 스스로 단번에 업그레이드하기에는 한계가 있지 않았나 싶다.
SK나 두산 야구스타일이
해를 거듭할수록
상대편이 간파하고
익숙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처럼..
제작비가 많이 들어가고 고생고생해서 찍은 것과 영화에 대한 평가는 좀 다르지 않을까
다큐로 들어난 노르망디 전투의 생존 한국계 독일군의 실화 이야기를
제작비가 많이 들어가고 고생고생해서 찍은 것과 영화에 대한 평가는 좀 다르지 않을까
다큐로 들어난 노르망디 전투의 생존 한국계 독일군의 실화 이야기를
2시간짜리 영화로 이야기를 담기에 좀 버겁지 않았나 싶다..
그렇지만 그 시도,, 한중일을 같은 틀에서 보려는 넓은 시야적 시도는 좋았다..
여담으로 저녁8시 빈자리없이 빼곡 앉아서 봤는데
그렇지만 그 시도,, 한중일을 같은 틀에서 보려는 넓은 시야적 시도는 좋았다..
여담으로 저녁8시 빈자리없이 빼곡 앉아서 봤는데
잔인한 장면에서 여자관객이 비명을 지르고
두런대며 물어보고 답하는 사람
화장실가는 애들 부모님 등 어수선한 분위기의 영화관 상영 분위기였다.
두런대며 물어보고 답하는 사람
화장실가는 애들 부모님 등 어수선한 분위기의 영화관 상영 분위기였다.
(이거 얼라 못보는 영화인데..)
전화받으러 가는 사람들 들랑달랑..
전화받으러 가는 사람들 들랑달랑..
영화에 집중해 보기에 좀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