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August 20, 2023

디즈니 플러스 < 무빙 > 시청 후기-연기파 배우의 총 출동, 이야기도 흥미진진

☝2호선 홍대입구역 광고판


1화부터 9화까지 틈틈이 일하다 쉬는 시간, 대기 시간에 봤는데 
한 달 데이타가 재미있어 조금만 조금만 
더 더 보다 몽땅 날아갔다.

도입부 CG는 너무 티가 나서 망했다는 인상이 들었다.

이미현 역의 한효주의 엄마 연기나 작가의 대사가 어릴 때 우리 어머니 잔소리와 유사했다.

 헉!

<무빙>의 연출은 다 넷플릭스<킹덤 시리즈>에 함께 하신 분들이다. 그래서 아마도 <킹덤 아신전>에 나온 마상구 역의 박병은, 윤성욱 역의 전석호님이 이번에도 같이 호흡을 맞추는 듯하다.


매화마다 달자지는  카피 글자가 개성이 있고 다른 이야기에 맞게 카피 디자인도 다 다르다.

글자 폰트로 시작할 이야기가 예측할(?) 수 있다. 깨알 디테일이 살아 있다.


주인공이 초능력자인데 현실은 다 사연이 있는 아웃사이더다.

인간을 초월한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다 실제 인간계에서는 바닥을 기고 있다.


이야기 흐름이 류성룡의 카리스마나 류승범의 이미지를 깨는 연출이 좀 있다.

장희수역의 고윤정은 영화<헌트>에서 운동권이었다가 고문당한 간첩녀였다. 그때는 얼굴이 잘 안 나와 잘 몰랐는데 <무빙>에서는 고등학교 역도 잘 어울린다. 

노랑 우비를 입고 뛰는 장면은 귀였고 폭소를 자아내는데 원조는 배두나가 출연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플란다스의 개>라고 생각한다.


김봉석 역의 이정하의 어더더역이 잘 어울리는데 장희수(고윤정)와의 조합이 리드 감 있게 물 흐르듯 잘 맞다.

김두식(조인성)과 이미현(한효주)의 연애 라인이 조인성의 첫사랑 영화 <클래식>처럼 달달하며 이전 1화~ 8화의 잔혹, 액션, 학교 생활과는 다른 장르의 분위기도 잘 살리고 기다리고 생각하고 눈치를 보는 심리묘사의 세세한 것을 잘 살렸다. 예전의 첫사랑하던 시절로 돌아간 느낌이다. 한효주도 키가 큰 편인데 조인성이 정말 다리가 길다고 생각하다. 한효주의 맑은 느낌을 잘 살렸는데 오히려 그런 분위기가 국정원의 어둡고 경직된 톤 배경에서의 근무이나 실전 상황을 좀 어색하게 만들었다.

이전의 이미현(한효주)이 아들 김봉석(이정하)에 대한 연애 코치 장면은 개인적으로 내가 놓친 연애 경험과 똑같은데 갑자기 옛날 그때 생각이 났다. 김두식(조인성)과의 연관성이 있는 부분인지 더 두고 봐야겠다.


국정원 여운구 역의 김신록과 조래혁의 유승목님의 연기가 특이하다. 여운구(김신록)의 연기를 보며 그래 직장에 저런 사람 꼭 있지 생각하게 만든다. 부들 부들


폰팔이 문신남역은 윤진영인데 푸른거탑 제로에 나왔었다.

전체적으로 짜임새가 잘되어 있고 인물 간 관계나 심리묘사가 모두 뛰어나다. 영상의 긴박감을 주기 위해 대부분 팔로우를 택했는데 역동적인 장면을 잘 살렸다고 할 수 있다.


12, 13회는 지루했다. 12회 보고 13회 중간보다 잤다. 민용준 (문성근)의 악역 연기는 절정에 달했다. 장주원(류승룡)의 오열장면은 두고 두고회자될 명연기였다. 류승룡의 가족사는 80년대 서민사회를 잘 보여줘 추억 소환이 되었다. CG장면은 1화 첫장면부터 여전히 어색하다. 이번도 마찬가지다. 강릉이라는데 한국이 아니라 어디 달나라에서 찍은 것 같다. <킹덤>식 미리 짜기가 자꾸 써먹으니 식상하다.

"너는 니 일 한거고,
 나는 내 일 한거다."



14~15화. 이재만(김성균)과 장주원(류승룡)의 대결씬은 수요일 오후가지 업데이트가 안돼서 기사 검색하다 알게 되었는데 기대보다 못했다. 노점상이야기는 한국적인 상황을 넣어서 괜찮았다.

뜬금없이 등장한 정준하(양동근)의 무게감이 대단하게 느껴진다. 버스 안에서 등장하는 씬은 대부분 역동적이고 시야각을 잘 찍었다. 작위적인 설정이 좀 집중을 어렵게 한다.

16~17화에서는  여전히 CG가 어설펐고 U+로 바꾸면서 보게 된 디즈니플러스가 방영 중 로딩되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가장 핵심이 되는 장면에서 로딩💪 초능력자 드라마 영향으로 아이패드가 멈췄나? KT도 그래서 끊고 바궜는데 우리 집이 음영지역인가?

여러 상황이 번갈아 나오는데 편집 문제인지 연출 문제인지 긴장감 있게 스피드 있게 진행되어야 하는데 늘어졌다. 그래서 한 공간, 한 시간에서 일어나는 것인데 긴장감 있는 파트 하나하나가 띄엄띄엄 느껴졌다.

18~20화

디즈니플러스 1년 할인 행사로 기존 아이디를 파기하고 신규아이디 파서 개통했는데 아이폰으로 결제하니 애플에서 디즈니플러스어플 이중결제가 되고 성인인증은 아이폰,아이패드 다 계속 먹통이고 상담원 전화 연결 50분 대기, 챗대기 91명



성인인증을 받아도 시청하려면 성인인증하라고 또 무한 반복, 
확인한 인증번호가 시도한 횟수를 보여준다.





어마어마한 인내와 끈기, 불굴의 도전으로 성인인증을 받아 시청

상담원이 가르쳐준 팀은 이렇다. (오후 상담원은 9시 퇴근)
어제 디즈니 1년 할인 행사 마지막날이라 통화가 불통









스마트폰 크롬 어플->시크릿창->PC 버전->디지니플러스 로그인 성인인증

클릭하니 하늘도 감동했는지 열리리라~~

여러 이야기와 주인공의 뒷얘기가 범벅되어 악인을 동정하게 만들었다. 박희순 배우의 고뇌하는 모습이 멋있다. 북한장교보다는 음울한 도시 테러리스트 같다. 박희순 배우의 차가우면서도 우울한 모습을 잘 잡아낸 촬영감독과 조명감독의 합작이 빛난다. 개인적 신체 특징으로 박희순 배우가 바바리를 입었을 때 어깨가 쳐져보여 더 강력한 이미지를 위해 꽉찬 뽕어깨였으면 인민무력부 무관으로서 좋았을 듯하다.

CG나 와이어선 연기는 여전히 어색했지만 그런 단점을 극복하게 만드는 배우들의 연기, 감동을 주는 이야기 구조, 결말에서 드는 행복감이 최근 유일하게 기다리게 만든 드라마의 동력이었다.

마지막은 합성인지 청계천인지 나는 자꾸 불광천에다 남산을 붙인듯하다. 

추측이지만 작가 강풀에 대한 인터넷상의 이념비판이 드라마 또는 원작에서 북한을 보는 시각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다.

아무말도 못하게 하던 금기의 시대에서 
자기편들기의 침묵의 시대가 
좌측 편 공세로 균열이 생기고 
우측 편의 제국의 역습으로 
좌측 편도 균형감각과 부르러움을 가지게 되며
양측 모두 반격에 대비한 자기 성찰을 조금씩 보이는 모양새로 보인다.


=============================================

                ☝부천만화영상진흥원

No comments:

영화 < 이누가미 일족 (1976) > -옛날 영화인데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다.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의 홍보 메일을 받아 확인해 보니 재팬파운데이션 무비페스티벌을 상암동 영상자료원에서 하고 있었다. 👉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1578 예약을 못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