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November 24, 2019

영화< 스페셜포스 블러드 마운틴(2016)Mountain2 > : 터키판 헐리우드 전쟁영화

주변지인의 추천으로 보게 되었는데 터키 입장에서 이라크와 IS,쿠르크족을 보는 시각이다.

전투씬이 군더더기가 없다.

냉정하게 감정이입없이 군인의 임무완수만 집착한다.

전투시간이 지나며 지난날의 회상씬이 겹쳐지며 지금 현재의 클라이막스로 이어지는 연출도 좋은 효과를 낸다.

아이들과 군용헬기,무기,내혈한 킬러 특수부대가 묘한 조화를 이룬다.

터키인을 보기도 힘들고 구별하기도 힘든 상황에서 배우들의 생김새가 정말 잘생겼다.

한국배우들을 보고 한국인의 평균치로 오해하는 것도 곤란하지만 좋은 선입관을 심어주는 현상은 있듯이 잘 모르는 터키에 대해 강력하고 강인한 남자이미지를 심어준다.

복잡한 이민족의 민족 ,종교갈등에 대해 미국의 입장이 아닌 터키입장을 조금이나마 볼 수있었다.

색감이라고 해야하나 색보정도 정말 좋다.

조계사 불교중앙박물관:모악산 금산사 -도솔천에서 빛을 밝히다

 조계사 뒤쪽으로 돌아들어가다.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인쇄하던 곳이었다.






 견훤에 대한 이야기가 제일 먼저 나온다.그가 창건하고 그가 말년을 보낸 곳이다.

 


      👉진표율사와 금산사에 관하여 재미있게 읽었는데 금산사와 내게 인연이 있나보다.

백제부흥군과 견훤,이씨 왕조의 목木과 상극인 금金을 회피하여는 
"김"으로 
발음등이 서술되어 있다.
 


 
 













👉 동래임진왜란역사관
1598년 8월18일 조헌의 700의사에 영규스님은 의리와 수행자로의 귀감을 보여주었다.
말만 앞서고 행동은 하지 않는 자가 세상에 넘치는데 영규스님의 최후는 숙연함을 보여준다.



 사람의 간절한 소망이 느껴진다.누군가 병마와 싸우는 손녀,손자가 있었던 것인가?

권력과 부를 가져도 부처님에 간절한 소망을 빌던 현실의 장벽은 무엇이었을까?

 


대부분의 나한상이 익살스러운데 약간 근엄하다,,,입술모양도 특이하다.

 





 



































 
간절함,소망,인간의 욕망과 의리

이루지 못한 꿈

견훤,김시습

세상을 치유하려던 진표율사와

세상에 맞선 영규대사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비운채 나한처럼 은둔하며 

살아야 할까?

아니면 영규대사나 진표율사처럼

새로운 질서를 만들기 위해

산화해야 할까?

위기의 시대

변화의 시대

어떤 선택을 내가 스스로 해야 할까?

여기있는 사람들의 흔적은

다 자기 스스로의 선택으로

자기 운명을 

결정했다.

영화 < 이누가미 일족 (1976) > -옛날 영화인데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다.

 일본대사관의 홍보 메일을 받아 확인해 보니 상암동 영상자료원에서 하고 있었다. 예약을 못 하고 현장 발권했는데 예약만 하고 오지 않으신 분들이 많아서 빈자리가 많았다. 카토카와회사의 상징인 봉황이 나오는데 고구려 봉황과 비슷하다. 1950년 요쿄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