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February 27, 2018

게임의 종말-북핵협상20년의 허상과 진실,그리고 그 이후 이용준/한울아카데미

현역외교관이 북핵협상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써 신뢰도와 전문성이 담보된다.

기존에 알고 있는 것과 다른 이야기,김영삼 정부 이후 각 정부마다 추진한 북핵해법이 잘 소개되었다.

북한은 1961년 미,쿠바 미사일사태부터 미국의 핵공격에 대한 방어태세와 핵개발의지를 가지고 추진하였다.

베트남이 공산화되고 카터행정부의 주한미군철수논의로 남한이 수세로 몰린 1970년대 북한은 군사적우위로 남침전략을 수립했다.그리고 핵개발까지 비밀리에 추진했다.


1982년 영변건설현장을 미국이 주목하면서 문제가 불거지다.

벼랑끝전술이 스캇 스나이더의 저서 <벼랑끝협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려 양태를 보여준다.

한국의 대북정책은 쾌속정같아서 대통령지시로 순식간에 노선이 바뀔수 있지만, 미국은 항공모함같아서 선회하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한 번 바뀐 노선은 다시 바뀌지 않는다.

김영삼정부시 미국 팬타곤은 조용히 국지전을 대비한 물자를 한반도에 착착 쌓아놓고 있었지만 노무현정부 당시 유포한 김영삼정부 당시 영변핵시설 폭격이나 선제공격설은 사실이 아니다.

1976년 도끼만행사건 당시 후발조치와 이라크전 상황을 돌아보면 준비기간이 4~5개월 걸리고, 미국의회의 2년마다 돌아오는 선거,전면전시 요구되는 패트리어트미사일배치의 한국정부비협조등의 여러 절차상 어려움이다.

1994년 카터의 북한 방문이 당시 보도와는 달리 미국과 한국에 당황스런 결과를 몰고왔음을 처음 알게 되다.

카터와 클린턴에 기대했던 북한이 오바마정부출범과 함께 많은 기대를 하고 액션을 취했으나 민주당정권은 예전같지 않았다.

1차대전부터 2차대전,한국전,베트남전,쿠바미사일위기 등 굵직굵직한 전쟁참여는 대부분 민주당정부에서 이루어졌다는 걸 북한은 간과했다.

서해북방한계선에 대한 남북한 견해차이,여러전문용어 풀이,다양한 국제법적 사례,한,미,일,중국,러시아의 외교전략등이 복잡하게 전개되며 상세한 설명과 도표로 정리가 잘되어있다.

북핵협상에 대한 교과서라해도 손색없을 좋은 책이며 여러번 탐독하며 사건이 터질때마다 들춰볼만하다.

No comments:

영화 < 이누가미 일족 (1976) > -옛날 영화인데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다.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의 홍보 메일을 받아 확인해 보니 재팬파운데이션 무비페스티벌을 상암동 영상자료원에서 하고 있었다. 👉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1578 예약을 못 하...